가사는 현대 사회의 불평등과 개인의 고난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우리 세상'이라는 새로운 시작을 위해 현재의 체계와 고정관념을 부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변화를 위한 강렬한 외침으로, 궁극적으로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이제 집 사기는 다 틀렸네
예라, 더런 놈의 세상, 미친 놈의 세상
승질 나서 뒈지겠네
맑은 하늘의 햇살이 남한이나 북한이나
선진국이나 후진국이나, 제일 세계나 제삼 세계나
아니, 서울의 변두리 셋방살이 내 집에도
차별없이 평등히, 따숩게 내리 쪼일 때
일층의 젊은 사모님 햇살이 따가워
넓은 마루 유리문에 그물같은 커튼을 치고
발톱에, 발톱에 매니큐어, 매니큐어
빨갱이 보다 새빨간 매니큐어를 바를 때
지하실에 우리 집 애들
책가방만한 창가로 흘러 드는
찌그러진 한 조각의 햇살
장난감처럼 만지작거리며 놀다
그 창에 대고 조용히 묻네
'우리는 왜 이렇게 살아야 하나요?'
이제 잘살기는 다 틀렸네
예라, 있는 놈의 세상, 가진 놈의 세상
열 받쳐서 미치겠네, 하체 힘도 쭉 빠지네
맑은 하늘의 햇살이 남한이나 북한이나
선진국이나 후진국이나, 제일 세계나 제삼 세계나
아니, 서울의 변두리 비닐 하우스 동네에도
차별없이 평등히 따숩게 내리 쪼일 때
썩어가는 나라 자본의, 독점의 발톱이
한 필지, 두 필지 숨차게 줄을 그어댈 적에
촌놈들 살겠다고 떠나온들 무엇하나
파출부에 날품팔이 쌩몸 팔아 연명할 적에
못난 부모들 막일 나가고,
버려진 애들 아무거나 줏어 먹고,
아무데나 묽은 똥질을 할 적에
깡패들이 들이닥쳐 그 집을 부술제
그 아이들이 조용히 묻네
'우리들 세상은 이제 망한건가요?'
아니, 이제 바로 시작이다
저 망치, 몽둥이를 뺏아라. 이제 너희들의 것이다
이 더런 집들을 때려 부수자,
부숴, 부숴, 부숴 버려!
(그만!) '이젠 또 무엇을 부술까요?'
여기 패배와 순종, 체념과 그 비굴
이 애비의 의식에 내리쳐라
이 죽은 의식에 내리쳐라, 쳐라, 쳐라!!
이제 바로 시작이다
이제 바로 시작이다
우리 세상, 우리 세상, 우리 세상, 우리 세상!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며 진실과 변화를 갈망하는 내용이다.
유사도 : 0.738
현실에 대한 고민과 반항을 노래하며 새로운 삶을 꿈꾸는 내용이다.
유사도 : 0.715
권력을 달라고 외치며 사회의 불평등과 고통을 표현하는 내용.
유사도 : 0.712
인권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현실과 불평등을 고찰하는 내용.
유사도 : 0.686
사람들은 불공평한 삶을 겪으며 도시를 탈출하려 하고 있다.
유사도 : 0.682
삶의 변화와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고뇌를 표현한 노래.
유사도 : 0.681
이 노래는 고통, 상실, 그리고 삶의 혼란 속에서의 반항과 저항을 이야기한다.
유사도 : 0.672
삶의 고통 속에서 평화와 새로운 시작을 갈망하는 마음을 표현한 노래입니다.
유사도 : 0.669
사회적인 불안과 불평등이 심화되는 현상을 강조하며 변화의 필요성을 외치는 노래.
유사도 : 0.667
세상의 통념과 미디어의 기만 속에서 고통을 느끼며 저항하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유사도 : 0.667
세상의 고통과 사랑의 필요성을 노래하며 갈등 속에서도 화해와 새로운 시작을 다짐한다.
유사도 : 0.659
힘든 상황 속에서도 현실을 직시하며 살아가는 이야기.
유사도 : 0.655
세상이 무너지고 고통 가운데 있는 현실을 통감하며 자유를 갈망하는 내용이다.
유사도 : 0.654
욕심으로 가득한 현실에서 자유와 희망을 찾으려는 강렬한 의지를 표현한 가사.
유사도 : 0.65
자신의 정체성과 고난을 표현하며 진실을 외치는 내용이다.
유사도 : 0.65
갈등과 고통 속에서 새로운 세상을 향해 나아가려는 마음을 표현한 노래.
유사도 : 0.65
고통과 억압 속에서도 자신을 잃지 말고 끝까지 버텨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유사도 : 0.646
고통과 상실 속에서 사랑을 찾고자 하지만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반발이 담긴 가사.
유사도 : 0.642
기득권에 맞서 싸우며 정의를 외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사도 : 0.639